728x90
반응형
인터프리터(Interpreter)와 컴파일러(Compiler)
프로그래밍 언어의 실행 방식에는 주로 인터프리터(Interpreter)와 컴파일러(Compiler)라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쓰입니다. 각각은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본문에서 각각의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인터프리터(Interpreter)
-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고 해석하여 즉시 실행하는 방식입니다.
- 코드를 작성해서 바로 실행해 볼 수 있어 빠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
- 주로 Python, Ruby, JavaScript 등에서 사용됩니다.
한 마디 : 동시 통역

반응형
2. 컴파일러(Compiler)
-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 전체를 한 번에 기계어나 중간 언어로 번역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.
- 코드를 최적화하고 실행 파일을 생성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인터프리터에 비해 빠릅니다.
- 주로 C, C++, Java와 같은 언어에서 사용됩니다.
한 마디 : 번역

결론
인터프리터는 빠른 개발과 테스트에 적합하고, 컴파일러는 최적화된 성능과 빠른 실행을 요구할 때 유용합니다. 프로젝트의 목표, 특성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728x90
반응형
'개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타 자료] 스크립트(텍스트) 파일 UTF-8 인코딩 하는 방법 (1) | 2023.12.16 |
---|---|
[Git] 깃 명령어 목록 (0) | 2023.12.05 |
[윈도우] 명령 프롬프트(CMD) 명령어 목록 (2) | 2023.12.03 |
[Git Hub] 100Mb 넘는 파일 올릴 때 생긴 문제 해결 방법 (1) | 2023.12.01 |
[개발 상식]인터페이스(interface)와 추상 클래스(abstaract class) (0) | 2023.11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