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코드를 작성할 때 변수나 함수명을 지을때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, 그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자.
1. 카멜 표기법(Camel Case)
private int maxCount = 0;
private bool isMax = false;
private string userName = "user";
이렇게 두 단어 이상을 연달아 사용할때 이어지는 첫 단어는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.
max+count = maxCount
is + max = isMax
user+name = userName;
2. 파스칼 표기법(Pascal Case)
private int MaxCount = 0;
private bool IsMax = false;
private string UserName = "user";
public int GetMaxCount()
{
return MaxCount;
}
모든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사용하고, 두 단어 이상 연달아 사용할때는 이어지는 단어 첫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. 쌍봉낙타 표기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.
is+max = IsMax
get+max+count = GetMaxCount
보통 함수명이나 클래스명에 사용하는것을 권장한다.
3. 스네이크 표기법(Snake Case)
private int max_count = 0;
private bool is_initalize = false;
private string user_name = "user";
단어와 단어사이에 '_'를 붙여 이어나가는 표기법이다.
max+count = max_count
is+initalize = is_initalize
4. 헝가이언 표기법(Hungarian Notation)
private int iMax = 0;
private bool bInitalize = false;
private string strName = "user";
변수명에 데이터 타입을 접두어로 표기하는 방식이다. 현재는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는다고 한다.
i(int) + max = iMax
b(boolean) + initalize = bInitalize
네이밍을 할때 딱 정해진 방법은 없지만,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협의하에 룰을 정해 같은 방법으로 일을 하는것이 효율적일 것이다.
728x90
반응형
댓글